티스토리 뷰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거나 또는 블로그를 쓸때에 글자수가 어느 정도인지 알기 위해서 활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바로 글자수세기프로그램입니다. 예전에는  한글 프로그램에서 문서정보를 통하여 글자수를 알아내곤 했는데요. 요즘에는 웹에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구인/구진 사이트에서 이 기능을 제공하고 있구요. 하지만 일일히 찾아서 들어가는 것이 또 번거롭기도 하죠.

 

그래서 대부분 네이버 포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실겁니다. 네이버는 이런데에 참 빠릅니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는 외부로 나가지 않고 본인 포털 내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서비스를 만들고, 또 수요가 적어지면 바로 폐기처분해 버리죠.

 

[글자수세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실 분들은 네이버에서 [글자수세기프로그램]을 입력하면 각종 서비스가 주루룩 나옵니다.

 

밑으로 조금만 스크롤을 내리면 아래와 같이 웹에서 바로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에 자신이 세고 싶은 문장을 복사해서 넣어주면 됩니다. 공백포함해서, 공백을 제외해서 모두 가능합니다.

 

자, 글자수를 어느 정도 맞췄다면 이제 맞춤법 검사를 해봐야겠죠? 맞춤법 검사는 아래 부산대학교에서 개발한 한국어맞춤법이 우리나라에서 최고입니다. 아마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이 프로그램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이런 프로그램에는 기본 데이터 베이스가 있어야 해서 경험이 축척되지 않으면 개발하기 힘들죠.

 

바로 서비스로 가실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시면 됩니다.

http://speller.cs.pusan.ac.kr/PnuSpellerISAPI_201602/

제일 업데이트가 자주 되는 서비스이자 프로그램이라서 이용해 보면 흡족합니다.

 

웹에서 바로 해당 내용을 붙여넣은 뒤 검사하기를 누르면 검사한 내용이 출력되고, 잘못된 부분은 바로 잡아 주어 이용하기 편합니다. 자기소개서 또는 외부로 나갈 문서가 있다면 한번쯤 이곳에서 검사한 후 확인하도록 하세요.

 

그럼 필요한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이기를 바랍니다. 아. 맞춤법 검사기에서 띄어쓰기 검사도 병행합니다. 물론, 문맥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까지 사람이 하는 것처럼 세밀하게 잡지는 못해도 최종 검수할 때 유용하니 잘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