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양음력변환 계산하는 일이 일상생활 중 필요하기도 하죠. 어찌보면 과학적이기도 한 음력 날짜에 감탄하기도 하지만...일상생활에 있어서는 귀찮기도 합니다. 부모님 생일은 모두 음력이라서 가끔 헷갈리기도 하구요, 또 이사 등을 가려고 할 때 음력 날짜로 이것저것 따지시는 통에...좀 힘들기도 하죠. 저에게 그냥 날짜 이외의 의미는 없는데 말이죠. 또 양력 설날과 음력 설날..우리나라는 왜 설이 두번일까요? 명절은 한 번만으로 충분한데 말이죠...

 

언제부턴가 명절이 부담스럽게 느껴졌는데...양력과 음력 비중의 차이는 있더라고 이 또한 두번이나 챙기려니 힘들기만 합니다. 너무 칭얼거렸나요? 곧 어른들 생신이 있어서 음력생일, 양력생일 또 계산해 보려니...저도 모르게 울컥해서 그냥 이말 저말 나오게 되었네요.

 

저처럼 양음력변환, 음력 생일, 양력 생일 계산하시는 분들 계시죠? 요것도 포털에서 바로 가능하다는 사실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네이버 포털에서 [양음력변환]을 검색하면 아래처럼 양음력변화기가 떡하니 나옵니다. 이 변환기는 양력에서 음력으로, 또는 음력에서 양력으로 둘 다 가능하답니다. 

 

아래 처럼 여러 계산기 중 [양음력변환]을 선택한 후 오른쪽에 있는 날짜에서 변환을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화면 전환없이 바로 그 아래 양력, 음력, 음력 간지에 대한 내용이 출력되구요. 바로 아래 나오는 변환된 음력 날짜를 확인하면 끝이죠.

 

 

또 하나, 달력 아래에 보면 [음력표시] 보이시나요? 이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면! 달력 아래에 회색 글자로 음력날짜가 쫙 표시됩니다. 제가 가장 자주 쓰는 기능이에요. 음력날짜는 왜그리 헷갈리는지..음력 날짜를 전체 확인하고 싶을 때 이 기능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날짜 아래마다 음력날짜가 모두 표시되어서 전체 음력 날짜가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이 기능을 사용하세요~

 

만약, 음력에서 양력으로 변환하고 싶다면! 이것도 가능해요. 오른쪽에 있는 박스를 클릭하면 [음력→양력] 메뉴로 변경할 수 있어요. 이 메뉴를 선택하고 조회하고 싶은 날짜를 찾은 후 [변환]을 누르면 그 아래 조회되서 나오는 음력, 양력날짜, 음력간지 등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양음력 변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예전에는 달력을 갖고 앉아 매년 초에는 어른들, 식구들 생일이며 제사날짜까지 달력에 표시하느라 정말 힘들었는데요. 요즘은 이렇게 톡톡 클릭 몇번이면 계산이 되어서 편리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이외에도 모바일 스마트 폰에 있는 스케쥴러 등을 이용하면 매년 조회하지 않더라도 해당 날짜가 되면 알림이 된다고 하네요. 요건 동생한테 조금 더 배운 후에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드형